이번엔 기술적 분석 보조지표 중 “일목균형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목균형표는 일본의 일목산인 이라는 사람이 시장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수단으로 여러가지 구성 요소들을 하나의 차트에 넣어 시장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지표입니다.
시장에서는 항상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공존하게 되므로 누가 산다거나 혹은 누가 판다고 주가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매수세력과 매도세력간의 적극성 즉, 균형이 어느 쪽으로 쏠려 있는지가 주가의 향방을 좌우하고 일목균형표는 시장의 균형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목균형표는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구성요소를 하나씩 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지난 26일간 최고가가 12000원 최저가가 10000원 이었다면 기준선은 11000원이 되는 것입니다. 최고가와 최저가를 제외한 다른 가격은 필요 없으므로 기준선부터 선행스팬2 까지의 가격은 매우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기준선은 추세 혹은 시장 균형의 기준이 되는 역할로 기준선이 상승세라면 현재의 추세도 상승세임을 의미합니다. 또한 주가가 기준선 위에 있으면 상승세, 주가가 기준선 아래에 있으면 하락세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기준선은 지지선이나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전환선의 의미는 추세의 전환을 제시합니다. 전환선이 상승하면 추세가 상승세로 전환하고 하락하면 추세가 하락합니다.
일목균형표는 너무도 방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가장 간단한 매매방법은 기준선과 전환선의 교차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우리는 이동평균선 강의 시간을 통해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의 개념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상향돌파할 때 골든크로스라고 하여 매수의 신호로 인식하고 반대의 현상이 나타날 때 데드크로스라고 하여 매도의 신호로 인식합니다.
마찬가지로 9일의 중간값으로 구해지는 전환선은 단기 이동평균선과 유사하고 26일간의 중간값으로 구해지는 기준선은 장기이동평균선과 유사합니다. 바로 두 선이 교차할 때 매매타이밍이 되는 방법입니다.
차트를 보며 매매타이밍을 살펴보겠습니다.
일목균형표는 기술적 분석의 후행성을 어느 정도 극복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확한 이해를 하지 않고 사용한다면 역효과를 낸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 검색조건 : 시가총액 100억 이상, 일목균형표[9,26,52]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 돌파
(제외종목 : 관리종목, 거래정지, 정리매매, 불성실공시, 투자위험예고, 우선주, 투자위험)